본문 바로가기
주가 전망

테스 주가 전망 ft 미달형 5파 고찰

by LIBEAUTI 2025. 9. 14.
  • 테스 소개
  • 테스 주가 상승 전망
  • 테스 년봉 월봉 엘리어트파동이론 차트 분석

테스 썸네일 사진

 

테스 일봉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테스(095610)가 강세네요.

 

테스 기업 소개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 테스 - 종목정보
테스 기업 소개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 테스 - 종목정보


테스 는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인데요. AI 빅데이터 자율주행 전기차 IoT 같은 요즘 가장 핫한 키워드 미래 먹거리 산업에 필수적인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이기에

테스 신문 기사 사진 출처 : 네이버 잡포스트 신문기사 Photo Credit : naver jobpost
출처 : 네이버 잡포스트 기사
테스 신문 기사 사진 출처 : 네이버 잡포스트 신문기사 Photo Credit : naver jobpost
출처 : 네이버 잡포스트 기사


그리고 끊임없이 기술력 향상 중이기에 앞으로 주가도 덩달아 상승할 것 같아요.


그리고 테스 주가 상승의 근거를 테스 의 년봉 & 월봉 엘리어트파동이론 을 바탕으로 한 기술적 & 차트 분석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것 같았어요.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일단 테스 의 년봉 을 보았는데요. 이 년봉을 보자마자 얼마전 책에서 봤던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미달형 5파

 

가 떠올랐어요. 미달형 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엘리어트파동 기본 모형 사진 출처 : im증권 Photo Credit : IM Securities
출처 : im증권

원래 엘리어트파동이론 5파는 이렇게 3파 지점보다 위에 있어야 정상인데 힘이 약해 5파가 3파 아래에서 끝난 모양을 미달형 이라고 했고 가끔씩 그 모습을 드러낸다고 하더라고요.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이렇게 테스 년봉에 표시를 해서 위에 있는 책 속 그림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일치하는 것 같았고 월봉으로 이 미달형 5파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이렇게 볼 수 있었어요.


엘리어트파동이론(김중근 선생님 지음) 책 속에 있는 미달형 5파 내용을 더 읽어보면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이렇게 나와있는데요. 책 속의 내용이 그대로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테스 월봉에 주황색으로 나타나고 있기에 이 미달형 5파 파동 카운팅은 상당히 맞다고 판단되어져요. 사실 테스 월봉을 얼핏 보면,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이렇게 표시할 수도 있는데요. 자세히 살펴보면 이 카운팅은 틀렸어요. 그 근거는 바로

엘리어트파동이론 사진 출처 : im증권 Photo Credit : IM Securities
출처 : im증권


이 엘리어트파동이론 절대불가침의 법칙 1번인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밑으로는
내려가지 못한다!

 
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다시 말해, c파동 지점이라고 보이는 가장 낮은 지점보다 주가가 더 밑으로 내려가면 그건 2파동이 아니고 그게 c파동일 것이다! 라는 것이죠.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이 사진을 보시면 한방에 이해하실건데요. 보시다시피, 오른쪽 새로운 2파가 c파 밑에 있기에 이 카운팅은 틀렸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처음에 미달형 5파로 카운팅한

테스 차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차트


이 사진이 가장 합리적이고 가장 옳게 카운팅했다고 보여져요. 그리고 이건 현재 새로운 1파가 시작된 것을 의미하고 그에 따라

테스의 주가 상승은 확실하다!

 
라는 결론에 귀결되는 것이지요.

 

테스 차트 및 엘리어트파동이론 gif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사진 출처 : 삼성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및 삼성증권 MTS 차트


변화무쌍한 주가 변동을 100프로 맞힐 수는 없지만, 그래도 위대하신 엘리어트 님께서 70년 동안 연구하신 엘리어트파동이론 에 근거하여 주식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생각되어져요.

테스 리포트 사진 출처 : 삼성증권, sk증권 Photo Credit : Samsung Securities, sk Securities
출처 : 삼성증권 MTS - 테스 - 투자의견 - SK증권 요약리포트
엘리어트파동이론 책 사진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photo credit - Elliott Wave Principle, Kim Joong Keun, Sakyejeol, 1999
출처 -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지음, 사계절, 1999


아무쪼록 테스 주가가 제 분석 및 전망 대로 상승하여 제 글이 성지글이 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 글을 여기서 마치도록 할게요~♡

* 이 글의 내용은 투자에 대한 참고내용일 뿐, 투자 판단과 결과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