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 설명

2030 축의 전환 아프리카 성장과 VanEck AFK ETF 로 보는 투자 기회

by LIBEAUTI 2025. 10. 19.

atk etf 썸네일 사진

 

2030 축의 전환 변화의 축이 아프리카로 이동한다고?

먼저 『2030 축의 전환』이 뭐냐면, 마우로 기옌 교수가 지금의 세계 흐름들이 어떻게 수렴하여 향후 10년간 “새로운 부와 힘의 축”이 재편될지를 8가지 메가트렌드로 설명한 책이에요. 이 책은 특히 변화의 축이 미국 유럽 중심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이동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어요. 즉, 미국 선진국 위주 투자 방식만으로는 미래의 흐름을 놓칠 수 있다는 경고를 던지고 있어요. 이 관점에서 보면, 아프리카에 투자하는 ETF, 그중에서도 AFK는 책에서 말하는 변화의 흐름을 포착하려는 전략 중 하나가 될 수 있어요.

 

AFRICA 이미지 사진

구분 내용 구분 내용
자산 90,098,084 발행주수 3,650,000
보수(%) 0.88 배수 1
배당수익률(%) - 배당주기 -
모닝스타평가 - 리스크점수 0.00
설정일 2008/07/10 운용사 VanEck
NAV 24.6800 NAV대비 +0.7758
자산유형 Equity 추적오차 11.08

 

AFK ETF란 무엇이며 어떤 구조로 운용되나요?

AFK는 VanEck Africa Index ETF (티커: AFK)로써, 뉴욕 증권거래소 등에 상장되어 있어요. 이 ETF는 MVIS GDP Africa Index라는 지수를 최대한 복제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이 지수의 특징은, 아프리카에서 설립된 기업뿐만 아니라 매출의 절반 이상이 아프리카 지역에서 나오는 기업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즉, 본토 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이 아프리카 사업 비중이 높으면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거에요. AFK의 운용 보수(운영비용)는 0.88%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고, 2008년에 설정되었어요. ETF가 추종하는 지수와 실제 성과 사이의 오차(추적오차)에 주의해야 하고, 또한 유동성, 환율, 거래 프리미엄/할인 등도 고려 대상이에요.

 

아프리카 핀테크 이미지 사진

 

2030 축의 전환 관점에서 보면, AFK가 주목받는 이유

이제 책의 흐름과 연결해서 AFK가 왜 의미가 있는지 살펴볼게요.

 

  1. 축의 이동 트렌드에요. 기옌 교수는 세계의 권력과 부의 축이 전통 중심지에서 떠나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말해요. 그 이동의 대상 중 하나가 아프리카에요. 그러므로 아프리카 경제 성장에 베팅하는 AFK는 미래 변화의 축을 미리 품는 전략이 될 수 있어요.
  2. 인구 중산층 도시화 등 책이 말한 핵심 메가트렌드와의 연계에요. 예컨대 ‘아프리카의 베이비 붐’이나 ‘새로운 중산층의 부상’ 같은 변화는 소비 수요와 산업 구조 변화를 이끌 거에요. 이런 변화가 실제로 기업 실적에 반영되면, AFK가 담는 기업들이 혜택을 보는 구조가 될 수 있어요.
  3. 기술과 금융의 융합 가능성이에요. 책에서는 기술 혁신과 새로운 소비 패턴, 화폐 재편 등이 미래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보는데요. 아프리카에서도 핀테크, 디지털 금융, 모바일 결제 등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AFK가 이런 기술 기업에도 노출될 수 있다면, 앞으로 성장 여지가 크다고 볼 수 있어요.

 

AFK ETF 보유종목 TOP 9
연번 종목명 티커 비중
1 Naspers Ltd N Shs Comm NPN 5.79%
2 Attijariwafa Bank SA ATW 4.65%
3 Anglo American PLC AAL 4.37%
4 Ivanhoe Mines Ltd Class A IVN 4.01%
5 Barrick Mining Corp ABX 3.94%
6 Endeavour Mining PLC EDV 3.79%
7 Airtel Africa PLC Ordinary AAF 3.57%
8 Guaranty Trust Holding Co. GTCO 3.56%
9 Banque Centrale Populaire BCP 3.45%

 

투자자에게 주의할 점과 전략 제안

그러나 AFK 하나만 덜컥 사는 건 무모할 수 있어요. 몇 가지 리스크와 전략을 같이 보시는 게 좋아요.

  1. 정치 제도 리스크에요.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은 정치적 불안정, 제도 변화 가능성이 높아요. 이러한 리스크가 기업 활동과 투자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요.
  2. 환율 리스크에요. AFK는 미국 달러 표시 ETF이기 때문에,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 변동이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3. 국가 집중 위험이에요. AFK가 포함하는 기업들 중 일부 국가는 비중이 높을 수 있고, 그 국가의 악재가 ETF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전략 제안으로는 다각화 투자가 중요해요. AFK를 전체 자산의 일부로 두고, 미국 아시아 등 다른 ETF나 자산과 혼합 투자하는 게 좋아요. 또한 장기 투자 관점을 갖는 게 중요해요. 2030 축의 전환이 말하듯이 변화는 시간이 걸리는 것이고, AFK도 단기 변동성을 감수하면서 기다려야 할 가능성이 높아요.

 

2030축의전환 AFK ETF 이미지 사진
afk etf 년봉 사진 출처 : 키움증권 Photo Credit : KIWOOM Securities
AFK ETF 년봉 사진 - 출처 : 키움증권 Global MTS 차트

 

맺음말

요약하면, 2030 축의 전환 책이 제시한 흐름

세계 축의 이동, 인구 변화, 기술 혁신

 

을 고려할 때, AFK ETF는 아프리카 성장 스토리에 참여하는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동시에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고, 단독 투자보다는 포트폴리오 일부로 활용하면서 장기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년도 수익률 S&P 500
2025 +57.34% +13.30%
2024 +12.10% +23.31%
2023 -14.07% +24.23%
2022 -20.18% -19.44%
2021 -1.28% +26.89%
2020 +0.47% +16.26%
2019 +3.18% +28.88%

 

이 글의 내용은 투자에 대한 참고내용일 뿐, 투자 판단과 결과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 도서 : '2030 축의 전환', 마우로 기옌 지음, 리더스북,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