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수2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왜 대형주에 따라 움직일까 1. 코스피 코스닥 지수의 기본 구조 주식시장에서 “삼성전자 상승에 코스피 반등”, “에코프로비엠 강세로 코스닥 상승”이라는 문구를 자주 볼 수 있어요. 이건 단순히 언론의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지수의 구조가 대형주 중심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에요.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모두 시가총액 가중평균 방식으로 산출되어요. 이 방식은 모든 종목을 동일하게 보는 것이 아니라, 시가총액이 큰 기업일수록 더 큰 비중을 부여하는 계산법이에요. 시가총액이란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값으로, 기업의 몸집을 의미해요. 그래서 대형주가 오르내릴 때 전체 지수의 방향이 함께 바뀌게 되어요. 지수는 ‘현재 시가총액을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으로 계산되어요. 예를 들어, 기준 시점의 전체 시가총액이 1.. 2025. 10. 11.
비 오는 날과 코스피 지수 하락의 상관 관계 팩트 체크 ft 헐 대박사건 오늘(9/24)은 오랜만에 코스피 지수가 파란 색으로 마감되었네요. 그리고 비도 오고요. 그러다 문득!엇! 비가 오는 날에는꼭 주가도 파랗게 하락하네! 라는 생각이 급 들었어요. 제 기분탓일 수도 있었지만 혹시 하는 호기심에 진짜로 팩트 체크를 한번 해보았어요. 특별한 기준은 없었고요. 아무 생각없이 그냥 코스피 지수 차트에서 파란 음봉을 찾아 날짜를 확인했고 그 날의 날씨를 네이버에서 체크해보았어요. 오늘(9/24) 이전에 제 눈에 가장 먼저 눈에 띈 코스피 하락날은 올해 9월 1일이었어요. 그래서 네이버 검색을 해보았는데 우왓 비가 왔었어요. (그것도 전국적으로요:) 호기심에 아무 생각없이 시작했는데 꽤나 흥미로웠고 다음 코스피 지수 하락 일자를 찾아보았어요. 허걱 3.88퍼센트나 하락을 했던.. 2025. 9. 25.